[단독] 불법 개통 앞에 청맹과니…"이통사, 보안 강화해야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일부 휴대전화 판매점이 불법 프로그램으로 개통 실적을 쌓아왔단 사실, 저희 연합뉴스TV가 사흘 전부터 보도해드렸죠.<br /><br />불법 개통이 이뤄졌다는 것은 이동통신사들도 이를 걸러내지 못했다는 뜻인데요.<br /><br />정부와 이통사들이 법적 대응을 계획 중이지만 보다 근본적 해결책이 필요합니다.<br /><br />나경렬 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휴대전화 불법 개통 프로그램이 버젓이 유통되고 있다는 보도 뒤, 방송통신위원회는 이통사와 정보통신진흥협회에 실태 파악을 지시했습니다.<br /><br />당국과 이통사들은 세 가지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스캐너 접속 프로그램이 해킹된 경우와 이통사의 개통용 전산이 뚫린 경우, 또 두 가지 모두에 문제가 있는 경우입니다.<br /><br />불법 프로그램이 원본이 아닌 사진 등 파일 형식 신분증을 스캐닝해 제출해도 문제가 없단 점을 볼 때, 일단 기술상 허점이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.<br /><br />또, 이통사가 이 불법 프로그램을 거친 개통을 걸러내지 못했다면 이통사의 개통 프로그램이 해킹됐을 가능성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유통점에서 올라온 개통 필수 서류들은 모두 이통사 본사로 모이게 됩니다.<br /><br />그러면 이통사는 비정상적 개통 건을 식별해내는데, 여기서도 이 불법 프로그램의 실체가 드러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이런 문제의 해결을 위해선 무엇보다 보안기술 투자가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.<br /><br /> "신분증 스캐너도 하나의 디지털 기기이기 때문에 보안 장치를 달 수 있거든요. 통신사에서 데이터를 보낸 경우에만 응답할 수 있고 (실제) 보급된 스캐너인지 확인하는 그런 과정만 있었다면…"<br /><br />통신사들과 정보통신진흥협회는 대책을 마련하는 한편, 이 프로그램을 만든 조직과 이를 사용해온 유통점을 고발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나경렬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